고급사무용 키보드 Logitech MX KEYS

반응형
반응형
SMALL

오늘은 누구나 전자제품의 주변기기를 좋아하고 관심 있어하는 사람이라면 들어봤을 키보드 MX KYES에 대해서 한번 정도는 들어봤을 겁니다. 오늘도 이 제품 리뷰를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1.  사무용 MX KEYS  사양 확인 

  만일 노트북이 아닌 여러분이 키보드가 필요한 Desk top을 사용한다면 없어서는 안 될 2가지가 필요합니다. 그렇다면 키보드와 마우스의 경우 어떤 걸 사용할까요?  현대 사회의 사무직 직원에게 키보드와 마우스는 이제 실과 바늘 같은 존재일 겁니다. 지금 사용 중인 MX KEYS에 대해서 한번 더 알보는 시간을 가지려고 합니다. 

  • 이름 : 로지텍 MX KEYS 무선 키보드 
  • 키방식 : 팬터그래프 
  • 호환 : 윈도우 MAC 모두 가능 
  • 무게 : 810g 
  • 부가기능 : 멀티 페어링, 미끄럼방지 패드, 백라이트(단일 LED) 
  • 가격 : 네이버 N쇼핑 기준 : 최저가 ₩ 107,130
  • 공식 사이트 :  MX KEYS 

항상 느끼는 거지만 LOGI 프리미엄 라인업의 가격은 아이폰 보다 더 가격 방어가 잘되는 듯합니다. 

[ MX Kyes 사진 ]

2.  사무용 최적화 키보드를 만나다

  • 무선 블루트스 연결이 가능해야 한다. 사무실에서 아무래도 많은 유선 제품들을 사용하므로 한 가지 제품이라도 무선으로 사용해야 공간활용도 및 쾌적한 환경에서 근무할 수 있습니다. 
  • 숫자키가 있어야 한다. 자료작성에는 항상 많은 숫자들이 들어갑니다. 업무 효율성을 감안하면 숫자키가 아무래도 있는 것이 편합니다. 
  • 소음에 강해야 한다. 기계식 키보드의 경우 아무래도 소음으로 인해 동료 직워들에게 방해를 줄 수 있으므로 무음 정도는 아니지만 소음이 적은 키보드를 선호합니다. 
  • 키감이 좋아야 한다. 팬타그래프 방식의 경우 많은 노트북 자판에 사용되고 MX Kyes의 경우 너무 얇지도 않고 깊지도 않은 적당한 높이의 키보드 타건감을 선사 합니다. 애플의 매직 키보드도 사용 중이긴 하나 아무래도 키감이 너무 얇아서 저한테는 MX Kyes를 더 선호하는 편입니다. 
  • 백라이트가 들어와야 한다. 어두운 공간에서도 작업을 할 수 있고 시각적인 효과도 좋기 때문에 백라이트 키보드를 선호 합니다.  
  • 멀티 테스킹이 되어야 한다. MY KEYS의 경우 총 3대의 기기에 연결이 가능하고 접속 방식도 단축키로 간편하게 기기가 이동이 가능합니다. 윈도, 태블릿, 맥북 3가지 기기를 1대의 키보드로 동시 사용 가능 합니다.

[ 멀티 테스킹 3대 기기 연결 가능 ]

키보드의 형상은 그림으로 통해서 알 수 있듯이 중앙 부위가 오목하게 들어간 형태로 키감을 높여주고 오타를 방지해 주는 역할도 충실히 적용하였습니다.  충전 LED의 경우 11~100% 까지는 LED가 녹색으로 켜지고 10% 이하일 경우는 LED 레드로 현재 키보드의 베터리 상태를 직관적으로 확인이 가능합니다. 충전의 경우 USB - C Port를 지원합니다. (하기 사진) 

 

3. 종합 평가 

   이 키보드의 경우 2020년 3월 13일 구매 하였고 구매 가격은 현재 환율로 환화 약 ₩ 151,000입니다. 약 3년 동안 사용해 본 결과 저한테는 여러모로 잘 맡는 키보드라고 판단되어 앞으로도 당분간은 사무실에서는 이 키보드로 업무를 볼 생각입니다. 810g의 무게가 중심을 잘 잡아주고 뒤편에는 미끄럼 방지 패드가 부착되어 있어 키보드의 흔들림 없이 안정적인 작업이 가능합니다. 

 

 출시한지 시간이 꽤 시간이 흘렀고 만일 여러분이 타자를 조근 조 근 한 형태로 타이핑을 하신다면 이만한 최적의 키보드일 겁니다. 최근에 출시한 콤팩트한 MX KEYS MINI 또한 공간이 부족한 작업 공간에서 멋진 기능을 발휘할 듯합니다. 

 

만일 당신의 업무가 컴퓨터 앞에서 키보드를 계속 타이핑해야 하는 직무라면 추천 드립니다. 

 

 

[ 상기 포스팅의 리뷰는 로지텍과는 관련이 없는 내 돈 주고 내가 산 제품의 리뷰입니다.] 

반응형
LIST

Designed by JB FACTORY